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포천수영장
- 개복숭아 판매
- 충주골프장
- 제주도눈썰매
- 개복숭아
- 제주도
- 서원힐스
- 제주도설경
- 자연산개복숭아
- 포천가볼만한곳
- 태안수영장펜션
- 덕소골프샵
- 휘닉스파크
- 한라산
- 개복숭아판매
- 조경철천문대
- 경기북부골프장
- LGG6
- 야생개복숭아
- 자연산 개복숭아
- 괌
- 포천온천
- 제주도눈
- 파주골프장
- wp-900
- 돌복숭아
- 포천투어
- 괌자유여행
- 야생개복숭아 판매
- 잠실수영장
- Today
- Total
목록분류 전체보기 (522)
Live Brilliant
DNS 설정이나 도메인 네임서버를 바꾸었는데, 바뀐 IP가 아니라 예전 IP로 접속되는 일이 생길 수 있다. 이는 셈틀(컴퓨터)에 접속 도메인 주소와 연결되었던 IP 주소 정보가 DNS 캐시(cache, 시렁)에 그대로 남아서 생기는 일이다. 쓰는 운영체제가 윈도라면 실행창(창문+R 또는 시작 → 실행) 또는 도스 명령창(시작 → 실행 → cmd↲) 또는 에 "ipconfig /flushdns"로 DNS 캐시를 지울 수 있다. 아래는 도스 명령창으로 캐시를 지울 때 화면이다. C:\>ipconfig /flushdns Windows IP Configuration Successfully flushed the DNS Resolver Cache. C:\> 현재 저장된 DNS 정보 확인하기 C:\>ipconfig..
1. 먼저 압축하고자하는 디렉토리로 이동한다.. # cd /var/www 2. 다음과 같은 명령으로 압축을 실행한다. # tar -cvf - 압축할디렉토리 | split -b 1024m - 압축파일.tar 압축 예(백그라운드 실행) : nohup tar -cvf - 압축파일 | split -b 1024m - 압축파일.tar 1> /dev/null 2>&1 & 폴더의 권한까지 1기가로 압축을 하는 명령어입니다.. 단순히 tar로 묶어줍니다.. (그냥 묶는것이 속도가 더 빠릅니다.그래서 저는 압축을 안하고 묶었습니다.) 만약 압축까지하려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넣어줍니다. (디렉토리의 권한까지 1GB로 분할을 하는 명령어 입니다.) # tar cvzf - 압축할디렉토리 | split -b 1024m - 압축..
netstate 명령어를 이용 접속자 확인 #netstat -an | grep :80 | wc -l 웹포트 #netstat -an | grep :80 | wc -l DB 포트 #ps -ef | grep httpd | wc -l #ps -ef | grep mysql | wc -l
crontab - 시스템의 주기적인 cron 작업의 설정, 수정등을 하는 명령어 -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데몬중의 하나인 crond 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명령어 - crond 데몬은 /etc/rc.d/init.d/crond 의 스크립트에 의해 시작, 종료, 재시작될수 있음 - crond 데몬 - /etc/crontab 파일 - /etc/rc.d/init.d/crond 스크립트 - /var/spool/cron 디렉토리내의 크론설정파일들 명령어 위치 : /usr/bin/crontab 사용형식 : crontab [ -u 사용자id ] 파일 crontab [ -u 사용자id ] { -l | -r | -e } cat /etc/crontab 매시 1회 자동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크론 설정 01 * * * * r..
my.cnf의 [mysqld] section에 wait_timeout=300 으로 설정 추가하고 다시 띄운다.(기본값은 28800) mysql로 접속하여 show variables like 'wait_timeout'; 을 해본다. 어라? 28800이다. 왜 적용이 안되는 걸까.. show variables like '%timeout%'; 을 해보면, interactive_timeout이라는게 있는데, 이게 바로 커맨드라인 클라이언트인 mysql (보통 /usr/local/mysql/bin/mysql 또는 /usr/local/bin/mysql 등등)을 말하는 거다. 당연히 mysql 기본 클라이언트로 interactive mode접속하면 wait_timeout을 interactive_timeout값으로 바..
service mysql restart --log tail -f /home/mysql/data/super01.log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쿼리날릴때 부하가걸리는 내용을 찾아 기록하며, 쿼리시 부하가 생기는경우 원인을 찾을때 유용하다. #vi /etc/my.cnf [mysqld] set-variable=long_query_time=2 log-slow-queries=/var/log/mysql-slow-queries.log 쿼리되는 시간과 로그디렉토리 추가, 시간은 초단위, 2초 설정을 한후 mysql을 바로 재시작하면 오류가 난다. 로그파일생성 및 소유권을 수정해야한다. 파일생성 #touch /var/log/log-slow-queries.log 소유권한..
파일 용량 특정 위치 찾기 awk df /home | grep home | awk '{ print $3}'
awk란 특정 패턴의 문자들을 원하는 형식으로 처리하는 강력한 유틸입니다. 한마디로 말해서 택스트파일로 저장되어있는 파일을 자신이 원하는 부분의 필드만 출력하기위해 사용되는 쉘프로그램입니다. 한예를 들어서 /etc/passwd 파일을보면 하나의 계정에 여러가지 내용이 콜론(:)으로 구분되어있습니다. 이 내용들을 원하는 부분만 출력하게 하기위해서 계정명: 패스워드(암호화):UID:GID:코멘트:홈디렉토리:기본쉘 순으로 되어있습니다. 이것을 계정명과 패스워드만 출력할려면 cat /etc/passwd | awk -F: '{print $1" "$2}' 이렇게 하면 root x bin x daemon x adm x lp x sync x 이런씩을 나타납니다. -F: 는 각항목들을 콜론(:)으로 구분하여 $1~갯수만..
서버 백업 시스템 (크론) [root@web tmp]# vi /etc/crontab SHELL=/bin/bash PATH=/sbin:/bin:/usr/sbin:/usr/bin MAILTO=root HOME=/ # run-parts 01 * * * * root run-parts /etc/cron.hourly 02 4 * * * root run-parts /etc/cron.daily 22 4 * * 0 root run-parts /etc/cron.weekly 42 4 1 * * root run-parts /etc/cron.monthly # backup 0 06 * * * root /root/backup.sh [root@web tmp]# vi ~/backup.sh #!/bin/bash tar cvfz /tmp..